5대 금융 충당금 3조6000억원…전년比 24.5% 감소
지방 금융 충당금 1조원 돌파…전년比 ’51%‘ 증가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국내 금융지주의 올해 상반기 실적이 발표된 가운데, 시중금융과 지방금융 간 충당금 격차가 좁혀져 이목이 집중된다.

금융당국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에 대한 대응책으로 사업장 평가 기준을 높여 엄격히 관리하겠다고 나서면서, 부실 사업장이 몰린 지방금융이 단기간 대손충당금 적립을 늘린 결과다.

2일 금융지주 경영공시를 종합하면 상반기 충당금전입액은 5대 금융지주사(KB·신한·하나·우리‧NH농협금융)가 전년 동기(4조7678억원)대비 24.5% 감소한 3조6005억원, 3대 지방금융(BNK‧DGB‧JB금융)은 전년 동기(7211억원)대비 51.7% 증가한 1조940억원으로 집계됐다. 

금융지주별로 ▲신한금융(대손충당금전입액) 9876억원▲KB금융(신용손실충당금전입액) 9810억원 ▲우리금융 7757억원 ▲하나금융(대손충당금전입액) 5411억원 ▲NH농협금융(신용손실충당금전입액) 3151억원 ▲DGB금융(충당금전입액) 4756억원 ▲BNK금융(충당금전입액) 3677억원 ▲JB금융(충당금전입액) 2507억원 등이다. 

이들 금융지주의 가장 큰 공통점은 모두 부동산PF 부실에 대한 방어를 목적으로 충당금을 적립했다는 점이다.

다만, 지난해와 비교해 절대적인 충당금 규모 격차를 대폭 줄인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전년 약 8배나 벌어졌던 시중금융과 지방금융 간 충당금 격차는 올해 절반 이상 줄어든 약 3.3배까지 좁혀졌다. 

또한, 시중금융과 지방금융 체급 차이가 큰 점을 고려하면, 지방금융이 최근 충당금 적립 규모를 확대하는 것에 열을 올리고 있음이 드러난다. 상반기 기준 시중금융 자기자본(평균값)은 총 45조7716억원으로, 지방금융의 자기자본 규모 7조5120억원보다 6배 높았다. 

이러한 충당금 격차는 취급하는 부동산PF의 위험 정도의 차이에서 비롯됐다고 분석된다. 통상 건설업계에선 수도권보다는 지방 사업장 위험성을 더 높게 본다. 따라서 부동산PF 익스포저(위험 노출액)의 불확실성이 높은 브릿지론(시행사가 토지 매입 등 사업 초기 자금 확보를 위해 금융권에서 받는 고금리 대출)은 지방금융에 몰릴 수밖에 없는 구조다. 

실제 BNK‧DGB금융은 상반기 부실채권을 각각 전년 대비 67.9%, 136.9%씩 늘렸다. 같은 기간 주요 금융지주의 부실채권이 20~40% 수준의 증가세를 보인 것과 대조된다. 

부실채권(NPL)은 ▲정상 ▲요주의 ▲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 등 5단계로 구분하는 여신 중에서 ▲고정 ▲회수의문▲추정손실 여신을 의미하며, ‘고정이하여신’으로 일컫는다. 회수 불능이 확실해 손실 처리가 불가피한 ‘추정손실’과 연체여신 중 손실이 예상되는 ‘회수의문’, 담보처분을 통해 회수가능한 것으로 예상되는 ‘고정’ 여신을 합한 것을 말한다.

금융지주별 NPL은 ▲KB금융 3조920억원 ▲신한금융 2조8120억원 ▲하나금융 2조3670억원 ▲우리금융 2조1482억원 ▲NH농협금융 1조9738억원 ▲BNK금융 1조3848억원 ▲DGB금융 4488억원 ▲JB금융 4564억원 등을 나타냈다. 

여기에 당국이 부동산 PF 정상화 조치 일환으로 사업성 평가 기준을 기존 3단계에서 4단계(양호·보통·유의·부실 우려)로 강화하면서 부실 사업장에 대한 구조조정과 강제 경‧공매 위기가 커졌다. 부실 사업장이 몰린 지방금융 입장에선 2분기 대손비용을 추가 적립하는 것이 시급했던 것으로 분석됐다. 

업계에선 지방금융이 하반기까지 지금까지의 충당금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내다봤다.

한 금융업권 관계자는 “지방은행은 저신용자나 중소기업 등 지방금융지주의 포트폴리오 구성이 금리 영향에 취약한 구조이기도 하고, 고정이하 여신 규모도 꾸준히 오르기에 충당금을 계속 늘릴 수밖에 없다”며 “여기에 지방 중·소 증권사의 PF 타격도 겹치면서 지방금융지주가 충당금을 적립하는 기조는 하반기에도 비슷한 흐름을 가져갈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파이낸셜투데이 신수정 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