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 기대감에도 제약바이오헬스케어 투자 급감
생태계 회복 위한 정부 조세감면·규제개편 필요
“미국·유럽 기술수출 지속…항노화 등 차별화 육성”

제약바이오협회를 중심으로 제약·바이오·헬스케어 업종 8개 단체로 구성된 한국제약바이오헬스케어연합회는 10일 ‘제약바이오헬스케어산업의 미래 신성장 동력 육성 전략’을 주제로 서울 여의도 CCMM빌딩에서 포럼을 개최했다. 사진은 노연홍 제약바이오협회장이 축사를 하고 있는 모습. 사진=신용수 기자
제약바이오협회를 중심으로 제약·바이오·헬스케어 업종 8개 단체로 구성된 한국제약바이오헬스케어연합회는 10일 ‘제약바이오헬스케어산업의 미래 신성장 동력 육성 전략’을 주제로 서울 여의도 CCMM빌딩에서 포럼을 개최했다. 사진은 노연홍 제약바이오협회장이 축사를 하고 있는 모습. 사진=신용수 기자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으로 각광받았던 제약·바이오·헬스케어 업종이 최근 들어 성장세가 급격하게 꺾였다. 투자가 줄어들면서 제약·바이오·헬스케어 업종의 생태계가 무너지고 있다는 의미다. 이에 업계에서는 정부가 조세감면과 규제개편 등 지원책을 적극적으로 펼쳐달라고 제언했다.

제약바이오협회를 중심으로 제약·바이오·헬스케어 업종 8개 단체로 구성된 한국제약바이오헬스케어연합회(이하 연합회)는 10일 ‘제약바이오헬스케어산업의 미래 신성장 동력 육성 전략’을 주제로 서울 여의도 CCMM빌딩에서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제약바이오헬스케어산업의 중요성을 재확인하고 전략적 차원의 육성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개최됐다. 그러나 제약·바이오·헬스케어 업종이 최근 위기를 겪고 있는 만큼 현 상황에 대한 분석과 함께 정부의 지원을 요청하는 내용이 주를 이뤘다.

포럼의 발제를 맡은 이병건 국가첨단전략산업위원회 위원(지아이이노베이션 대표)은 “최근 비상장 바이오 기업에 대한 펀딩(투자)이 완전히 막혔다”라며 “올해 말까지 버틸 수 있는 자금을 가진 회사가 거의 없어 굉장히 큰 문제가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정부에서 (관련 업종에 대한)특별 자금지원이 빠르게 이뤄져야 생태계가 돌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제약산업 현안 법령에 대한 개선점과 육성방향도 함께 제시했다.

상장 바이오 기업의 유지 요건 완화와 함께 법인세 비용 차감전 계속 손실(법차손) 등 상장 폐지 요건 개선을 제시했다.

한국거래소는 자기자본의 50% 이상에 해당하는 법차손이 3년간 2회 지속된 상장사는 관리종목으로 지정한다. 신약개발은 보통 10년 넘게 걸리는데 이 기간에 매출을 기대하기 어렵기에 제약과 바이오 업종을 기존의 제조업과 같은 회계 잣대로 평가해서는 안된다는 주장이다.

제약바이오헬스케어산업의 미래 신성장 동력 육성 전략 포럼에서 연사들이 토론하고 있다. 사진=신용수 기자
제약바이오헬스케어산업의 미래 신성장 동력 육성 전략 포럼에서 연사들이 토론하고 있다. 사진=신용수 기자

이에 제약바이오 업종의 회계처리에서 법차손 항목의 ‘연구개발비’를 제외해야 하는 방안이 제시됐다.

또 세액 이월 공제 유예기간의 연장방안의 검토도 제안했다. 현행 이월 공제기간이 10년이나 제약산업이 호흡이 긴 투자가 이뤄진다는 점에서 공제 기간을 20년으로 연장해야 한다는 의미다.

아울러 이병건 위원은 제약바이오헬스케어 산업의 산업성장률이 오는 2027년에 4.9%로 점쳐지는 만큼 높은 성장 잠재력이 있는 분야라는 점을 강조했다. 이는 세계경장성장률인 2.6%를 뛰어넘는 수치다.

국내 기업들도 차별화에 나서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이병건 의원은 “의료관광 산업과 연계해 항노화 등 차별화된 분야를 선택하고 집중 육성해야 한다”며 “국내 제약바이오기업이 글로벌 기업과 경쟁하기는 어려워 재생의료, AI, 디지털헬스, 오가노이드, 유전자편집 등 미래 분야를 빨리 진출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포럼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국내 제약바이오 산업의 발전을 위해서 정부의 조세 감면 혜택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서동철 의약품정책연구소장은 “혁신형 제약기업 제도 취지에 부합하는 제약사의 범위와 요건을 정비해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한 제도 개선이 이뤄져야 한다”며 “정부의 지원 규모 확대 및 세제 혜택, 정책 금융 등 지속적인 산업 투자 활성화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근 미국이 중국 바이오기업들과 거래를 제한하는 생물보안법을 추진하는 만큼 국내 기업들도 기회를 얻을 가능성이 커지는 상황이다. 이러한 기회를 살리기 위한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뜻이다.

국내 임상시험수탁기업(CRO)은 80개가 존재하나 시장성을 인정받은 기업이 3개 수준이라는 점에서 다국가 임상이 가능하도록 육성해야 한다는 조언도 나왔다.

신대희 LSK글로벌파마서비스 부사장은 “해외 CRO기관을 별도로 쓰면서 경쟁력있게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해외 CRO에 주도권을 뺏기면 연구비는 연구비대로 들고 시간은 시간대로 지체된다”고 설명했다.

파이낸셜투데이 신용수 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