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와 자동차 생산이 위축되면서 우리나라의 산업생산이 3개월 연속 감소했다. 고금리·고물가로 인해 소매판매도 줄었으나, 설비투자는 두 자릿수대 증가했다.

포스코HY클린메탈 리사이클 공정을 거쳐 생산한 이차전지소재 제품의 모습. 사진=포스코홀딩스
포스코HY클린메탈 리사이클 공정을 거쳐 생산한 이차전지소재 제품의 모습. 사진=포스코홀딩스

30일 통계청이 발표한 ‘7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全)산업 생산지수(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는 112.7(2020년=100)로 전월보다 0.4% 감소했다. 지난 4월 1.4% 증가했던 전산업생산은 5월(-0.8%)과 6월(-0.1%)에 이어 석 달째 감소세를 이어갔다.

3개월 연속 감소는 2022년 8~10월 이후로 21개월 만이다.

이에 대해, 통계청은 “산업생산이 3개월 연속으로 감소했지만, 전년 동월 기준으로는 플러스”라며 “산업 부문은 괜찮은 상황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구체적으로 광공업 생산이 전달보다 3.6% 줄었다. 지난 2022년 12월(-3.7%) 이후 19개월 만의 최대 감소폭이다. 특히, 제조업 생산은 반도체와 자동차 모두 위축되면서 3.8% 줄었다.

자동차는 부품사의 파업과 라인 보수공사 등의 영향이 컸다. 실제로 현대모비스 협력업체 및 기아차 광주공장 협력사 등이 부분파업에 나섰고, 한국GM 부평공장의 생산시설 보수공사까지 진행되면서 7월 국내 완성차업체 생산량은 29만910대(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 집계)로 30만대를 밑돌았다.

반도체는 전월보다 8.0% 감소했다. 6월 반도체 생산호조에 따른 기저효과가 반영된 것으로, 인공지능(AI)·정보기술(IT) 업황 자체는 견조하다는 게 통계청 해석이다.

그밖에 서비스업 생산이 0.7% 증가했다. 금융·보험(-1.3%), 숙박 및 음식점업(-2.8%), 예술·스포츠·여가(-1.3%)에서 줄었고, 정보통신(4.5%), 운수·창고(3.1%)에서 늘었다. 공공행정 생산은 6.0% 늘었다.

그런가 하면, 재화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소매 판매는 1.9% 감소했다.

4월(-0.6%)·5월(-0.2%) 감소에서 6월(1.0%) 증가로 돌아섰던 소매판매가 한 달 만에 꺾이면서 들쭉날쭉한 흐름을 보였다. 차량연료 등 비내구재(-1.6%), 승용차를 비롯한 내구재(-2.3%), 오락·취미·경기용품 등 준내구재(-2.1%) 모두 판매가 줄었다.

반면, 설비투자는 10.1% 늘면서 두 달째 증가했다. 운송장비 투자가 50.5% 급증하면서 전체 투자 증가를 이끌었다.

건설기성(불면)은 1.7% 감소했다. 건축(0.9%)에서 공사실적이 늘었지만, 토목(-8.9%)에서 줄었다.

향후 건설 경기를 예고하는 건설수주(경상)는 1년 전보다 토목(83.5%)을 중심으로 28.4% 증가했다.

현재 경기를 보여주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98.4로 전월보다 0.6포인트 하락하면서 5개월째 마이너스 행진을 했다.

향후 경기를 예고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100.6으로 전월과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파이낸셜투데이 박순원 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