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사도광산 한국인 노동자 진심으로 추모”

일본 사도광산 내 터널. 사진=서경덕 교수 제공
일본 사도광산 내 터널. 사진=서경덕 교수 제공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노역 현장인 일본 사도광산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됐다. 

27일(현지시간) 인도 뉴델리에서 열린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WHC) 46차 회의에서 일본이 신청한 사도광산의 세계유산 등재를 21개 회원국의 전원동의(컨센서스)로 결정했다. 

세계유산은 WHC 위원국의 3분의 2 이상이 찬성하면 등재된다. 그러나 관례적으로 전원 동의를 얻어야 하고, 협상에서도 합의하지 못할 경우 표결이 진행된다. 한국은 조선인 강제노역을 포함한 전체 역사를 설명하라는 요구를 일본이 수용하면 컨센서스를 막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혀왔다. 

가노 다케히로 주유네스코 일본대사는 이날 회의에서 “모든 관련 세계유산위원회 결정과 이와 관련된 일본의 약속을 명심하며, 특히 한반도 출신 노동자들을 포함한 사도광산의 모든 노동자들을 진심으로 추모한다”고 말했다.

이어 “사도광산에 대한 한일 간 의견 차이를 원만히 해결하려는 의지를 보여주기 위해 일본은 이미 모든 노동자들과 그들의 고된 작업조건 및 고난을 설명하는 새로운 전시 자료와 해설 및 전시 시설을 현장에 설치했다”고 강조했다. 해당 발언은 세계유산위원회 결정문에 각주로 포함돼 결정문의 일부로 간주된다.

아이카와 향토박물관 모습. 사진=외교부
아이카와 향토박물관 모습. 사진=외교부

일본이 새로 설치한 전시물은 사도광산에서 자동차로 5분 거리로 2㎞ 정도 떨어진 기타자와 구역에 있는 ‘아이카와 향토박물관’에 마련됐다. 박물관 2층 한 구획에 ‘조선반도 출신자를 포함한 광산 노동자의 생활’이란 이름으로 한국인 노동자의 가혹한 노동조건 등을 영어와 일본어로 설명하고 관련 사료를 전시했다. 오는 28일부터 일반에 공개된다. 

일본 정부의 사도광산 노동자를 위한 추도식은 올해부터 매년 7~8월께 사도 현지에서 열릴 예정이다. 올해 첫 행사는 이르면 9월에 진행할 계획이다. 개최 일자와 장소는 일본 측에서 조율 중으로, 한국과도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전해졌다. 

사도광한 세계유산 등재는 일본이 사도광한 현장에 ‘전체 역사를 반영해야 한다’는 우리 정부의 요구를 수용, 현장에 조선인 노동자와 관련한 전시 시설 설치와 매년 노동자를 위한 추도식 개최를 약속하면서 이뤄졌다. 

사도광산은 일본 니가타현 사도섬에 위치했으며 에도시대(16~19세기) 당시 일본 최대 금광으로 알려졌다. 태평양전쟁 시기 전쟁 물자를 확보하기 위한 시설로 활용돼 조선인 2000여명이 끌려와 가혹한 노역에 동원된 역사가 있다. 

일본은 1989년 폐광 이후 관광지가 된 사도광산의 관광 활성화를 위해 2018년부터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해왔다. 하지만 유산 시기에서 조선인 강제노역을 의도적으로 배제했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유네스코 자문기구인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이코모스)는 지난달 사도광산이 “(세계유산으로) 등재될 만한 가치가 있다고 판단한다”면서도 “전체 역사를 포괄적으로 다루는 설명과 전시 계획을 세우라”는 주문과 함께 ‘보류(refer)’를 권고했다. 

그러나 일본의 약속이 차질없이 이행될 수 있을지 지속적으로 지켜봐야 한다는 시각이 나온다. 2015년 군함도(하시마섬) 탄광 등 근대산업시설의 세계문화유산 등재 당시에도 일본은 ‘전체 역사를 반영하겠다’고 약속했지만 제대로 이행하지 않았다. 전시 시설을 군함도 인근이 아닌 도쿄에 설치했고, 강제 노역 사실보다 ‘조선인에 대한 평등 대우’를 소개하는 왜곡된 설명문을 달았던 것이다. 

우리 정부는 군함도 세계유산 등재 당시 일본이 약속을 어긴 전례가 재발하지 않도록 WHC 결정문에 일본의 이행 의지를 반영된 것이 긍정적인 결과라고 봤다. 그러나 다수 한국인이 ‘강제 노동’에 처했다는 점이 전시물이나 추도식 과정에서 얼마나 부각될 지는 지켜봐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파이낸셜투데이 신수정 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