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여의도에 있는 금융감독원 본원 앞 석판. 사진=한경석 기자
서울 여의도에 있는 금융감독원 본원 앞 석판. 사진=한경석 기자

금융감독원이 연체율이 치솟고 있는 저축은행과 새마을금고에 대해 이달 현장 검사를 나선다. 저축은행업권은 지난해 5000억원이 넘는 순손실을 냈고, 연체율도 2015년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새마을금고도 연체율이 최근 7%대까지 치솟으며 자산 건전성에 대한 우려를 보이고 있다.

1일 금감원과 금융권에 따르면 금감원은 이달 저축은행과 새마을금고의 연체율을 살피는 등 건전성을 들여다보기 위한 현장 검사에 나선다.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저축은행업권은 2022년 말 1조5662억원의 흑자를 기록했다. 그러나 지난해 5559억원의 순손실로 돌아섰다. 저축은행이 적자를 본 것은 지난 2011년 대규모 영업정지 사태로 2013년 회계연도(2013년 7월~2014년 6월)에 5089억원 손실을 기록한 이후 9년 만에 처음이다.

저축은행 무더기 적자는 부동산 PF 관련 손실 가능성이 커지면서 금융당국 압박에 충당금을 대거 쌓은 것이 결정적 배경이 됐다. 특히 79개 저축은행 중 절반이 넘는 41곳이 지난해 순손실을 기록했고 이 중 부동산 PF 연체율이 30%를 넘어선 곳도 있었다.

저축은행의 지난해 말 기준 연체율은 6.55%로, 전년 말(3.41%) 대비 3.14%p 상승했다. 2015년 12월(9.2%) 이후 최고 수준이다. 특히 기업대출 연체율은 8.02%로, 전년 말(2.9%) 보다 5.12%p 증가했다. PF대출 연체율도 6.94%로 전년말(2.05%) 보다 4.89%p 높아졌다.

금융당국은 올해 들어서도 저축은행들의 연체율 상승세가 이어졌을 것으로 보고 있다. 금융당국은 이달 중순 올해 1분기 말 연체율이 나오면 현장 점검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금감원은 예금보험공사, 새마을금고중앙회 등과 함께 이달 8일부터 약 2주간 자산 규모가 비교적 큰 개별 새마을금고 4곳에 대한 현장 검사를 진행한다.

작년 말 기준 새마을금고의 전체 연체율은 5.07%였지만, 올해 1월 기준 6%대, 2월엔 7%대까지 추가 상승한 것으로 금융당국은 전망했다.

부동산 경기가 회복되지 않은 가운데 PF와 유사한 성격의 관리형토지신탁이나 공동대출 부실화가 새마을금고 연체율 상승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앞서 금융당국과 행정안전부는 지난해 7월 새마을금고에 대한 공동 검사를 실시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번 공동 현장 검사는 당시 발표 이후 이뤄지는 첫 공동 검사가 될 전망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이번 현장 검사를 통해 연체율 관리 등 건전성 부분을 집중적으로 들여다보게 될 것”이라며 “부실 위험에 상응하는 충분한 충당금 적립 유도 등 관련 업권의 손실흡수능력 확충 등에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파이낸셜투데이 이라진 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