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만 합병 금고 8곳 달해…‘뱅크런’ 사태 이후 13곳 합병 추산

새마을금고. 사진=연합뉴스
새마을금고. 사진=연합뉴스

새마을금고중앙회가 수년째 금융사고가 발생한 새마을금고에 대해 ‘합병 처분’ 방식으로 파산‧부실 등 리스크(위험)를 관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별 부실금고의 리스크를 중앙회가 짊어져 건전성 관리 부담이 가중된다는 우려가 나오는 가운데, 중앙회는 한국은행의 유동성 공급에 기대어 이러한 부담을 피하는 것으로 보인다.

11일 금융권에 따르면 새마을금고중앙회는 지난달 26일 63억9000억원 규모의 무담보 허위대출이 발생한 대구 군위군의 A금고에 대한 징계로 합병(통·폐합) 처분을 결정했다. 이는 새마을금고의 올해 첫 합병 사례다. 

합병 처분은 합병금고가 해산금고의 권리 의무를 포괄적으로 승계하고 회원을 수용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이는 금고 내 최고 수위의 징계인 동시에, 부실 금고의 정상화를 위한 구조개선 방법 중 하나다. 통상 금고 규모를 대형화시킬 때나 혹은 금융사고 등 부실이 발생한 금고가 자체적인 역량만으로 정상화가 어렵다고 판단될 때 합병을 진행한다. 

구체적인 합병 과정은 중앙회가 자금을 투입해 합병될 부실 금고의 재무 상태를 정상화시킨 후 다른 건전한 금고에 흡수시키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이에 부실 금고의 거래 고객은 피해를 보지 않게 되지만, 이미 발생한 부실은 중앙회가 떠안는다. 

중앙회는 합병을 결정짓기 전 부실 금고에 대한 자본 여력과 금고 규모 등 역량을 살핀다. 최근 100억원대 불법대출이 실행된 사실이 뒤늦게 알려진 대구 동구 B금고가 중앙회 차원의 검토 단계인 것으로 확인됐다. 

새마을금고 관계자는 “합병 대상 금고가 자체적으로 위기를 수습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해, 극복할 수 없다고 생각될 때 합병을 결정한다”며 “B금고도 합병 조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검토 중이며, 아직까진 시간이 더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합병에 대해선 “결국 금고의 규모에 따라 (합병이)결정된다”며 “금고 규모가 클수록 적립된 자본금도 많을 확률이 높고, 위기를 스스로 극복할 수 있다고 판단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 올해 합병 금고만 8곳…2018년 이후 ‘최다’ 합병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새마을금고중앙회는 뱅크런(예금 대량 인출) 사태가 발생한 지난해 7월부터 올해 3월까지 총 9개의 금고를 합병했다. 자본적정성을 비롯해 ▲자산건전성 ▲경영관리능력 ▲수익성 ▲유동성 등을 기준으로 합병 대상 금고를 선정했으며 합병 금고는 부산·경북권역 각 2개 금고, 서울·대전·경기·전북·강원권역 각 1개 금고 등이다. 

또한, 중앙회는 강도 높은 부실금고 정리를 예고함에 따라 올 하반기 4개 금고를 구조개선 대상으로 지정해 합병 여부를 검토할 것으로 알려졌다. 구조개선 대상은 연체율이 높거나 지속적인 부실이 발생하는 등 경영 실적 개선이 필요한 특별 관리 금고를 말한다.

따라서, 올해 총 합병되는 금고는 8곳으로, 2018년 이후 6년 만에 최대 수치다. 또한 지난해 7월 ‘뱅크런 사태’ 이후로 합병된 금고만 13곳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한국은행 사옥. 사진=연합뉴스
한국은행 사옥. 사진=연합뉴스

◆ 유사시 최대 24조6000억원 확보…한은 뒷배 ‘든든’

일각에선 합병 금고의 부실을 중앙회가 짊어지는 구조의 개선책을 펴면, 중앙회의 건전성 관리에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부실 금고가 우후죽순 등장하면, 결국 뱅크런 사태가 재현될 수 있다는 우려도 더해진다. 

이에 금융당국은 최후의 대비책으로 새마을금고의 손실흡수능력을 확대하기 위해 충당금 적립 규모를 늘리는 동시에, 한국은행으로부터 유동성을 공급받을 수 있는 제도를 마련했다. 지난 7월부터 한국은행 공개시장운영 대상기관으로 선정됨에 따라 한은과 환매조건부증권(RP) 매매가 가능토록 했다. 

상반기 말 기준 새마을금고가 한은 RP 거래로 지원받을 수 있는 유동성 규모는 14조6000억원에 달한다. 또한, 유사시 한은과 협의 후 최대 24조6000억원까지 유동성을 지원받을 수 있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중앙회가 지난해 11월 발표한 경영혁신방안에 따라 공격적으로 부실 금고를 합병 처리하며 정상화에 나서고 있다”며 “중앙회에 부담이 커짐에도 적극적으로 수습할 수 있는 배경은 한국은행의 유동성 공급이란 든든한 방패막이 한몫한다”고 밝혔다.

행정안전부가 지난달 30일 발표한 전국 1284곳 새마을금고에 대한 올해 상반기 영업실적에 따르면 순손실은 1조2019억원에 이른다.

반기 실적 기준 1963년 창립 이후 최대 적자다. 연체율도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영향으로 대손충당금을 급격히 늘리면서 지난해 말(5.07%) 대비 2.17%p(포인트) 증가해 7.24%를 기록했다.

새마을금고 측은 합병 과정이 재무건정성, 유동성에 미치는 영향이 없다고 강조했다. 새마을금고 예금자보호기금은 새마을금고법에 따라 1983년 도입된 후 지난해 말 기준 2조6000억원 이상 적립한 상태다.

새마을금고 관계자는 “합병을 위해 중앙회가 손실(부실) 흡수를 하는 경우 중앙회 일반회계와 분리된 '예금자보호기금'에서 커버하므로 중앙회 재무건전성이나 유동성과 직접 관련은 없다”고 설명했다. 

파이낸셜투데이 신수정 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